본문 바로가기

회고(뭐든)

(6)
[다시 풀어보는 토스 과제] 지난 토요일 토스에서 Next개발자 챌린지 과제가 있었는데, 나는 프론트엔드를 신청했고, 나는 2시간 이내에 풀지 못했고, 기능 없는 화면 구현만 해놓은 상태에서 끝났다. 이후 어제부터 시작해 다시 풀어보기로 했다. 푸는 중간 토스에서 제공한 노션 가이드 링크 공유가 사라져 테스트까지 해보지는 못했다. 무튼 풀긴 다 풀었다. (feat. gpt님) 생각보다 복잡했고, 토스에서 제공한 컴포넌트들이 없이 처음부터 구현했더라면? 더 막막했을듯 하다. 추후 제공된 컴포넌트들과 코드들을 해부해봐야 할 듯 하다. 내가 푼 코드들을 하나씩 뜯어보려고 한다. (주어진 과제는 github에 public으로 두거나 따로 코드를 외부로 유출하면 안되는 걸로 알기에, 기존 제공된 코드들은 생략하고 내가 작성한 코드들 첨부 예..
See You Letter 회고 See You Letter라는 작은 프로젝트를 혼자 해 보았다. 타임캡슐처럼 편지를 작성하면 설정한 기간 이후에 수신자에게 메일로 전송이 되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를 어떻게 시작했고 현재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회고! 내가 생각한 프로젝트 진행 순서는...!? 1. 무슨 프로젝트? 프로젝트 정하기 2. 비슷한 프로젝트 레퍼런스 찾아보기 3. 순서도 작성(설계) 4. 피그마로 프로젝트 디자인(와이어 프레임) 작업하기 5. 깃헙 이슈로 프로젝트 관리 6. 클라이언트 구현 7. 배포 + 추후 서버쪽 진행 1. See you letter 프로젝트 나중에 또봐! 라는 표현 "See you Later"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See you letter (편지 나중에 다시 보자!) 이름처럼 지금 쓰는 편지를 특정 기간..
개인 프로젝트 SeeYouLetter-project(login page, styled-components) See you letter-project (login page / styled-components) 먼저 프로젝트는 react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react로 JSX로 기본 뼈대를 만드는건 어렵지 않았다. 뼈대를 만들고, styled-components로 CSS 작업 후 기능구현(fire-base)을 이어서 할 것이다. 뼈대를 만들고, styled-components로 CSS작업을 했다. 아! 먼저 프로젝트를 진행 함에 있어서 모듈이나 라이브러리를 설치 할때, 반드시 CLI에서 현재 내 위치가 어디인지? 어디에 설치 할것인지 확인하자. 부모 디렉토리에 설치해서 "왜 안돼!?"하지 말고 그리고 각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함수는 반드시 대문자로...! Login.jsx로 기본 구성을 만들었으니, 각 태그를..
개인 프로젝트(SeeYouLetterPoject) 개인 프로젝트(See you Letter!) 프로젝트는 1년 후(혹은 6개월 또는 3개월) 나에게(혹은 누구에게) 편지를 쓰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작성한 편지는 설정된 기간 후에 메일로 전송된다. 지난 프로젝트 때 내가 해보지 못한 로그인/회원가입 기능을 넣고 서버는 fire-base를 사용할 예정이다. 유저 데이터와 편지 작성 관련한 데이터들은 Firestore에 저장한다. 메일 전송은 firebase extenstions를 찾아 봐야겠다. 해당 기능 구현이 얼추 마무리 된다면, 간편로그인(Oauth2.0)을 넣을 생각이다. 그리고 깃헙의 Issue, project, milestone을 사용하여 효율적이고 보다 체계적인 개발을 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figma를 사용해서 순서도(flowchart)를 작성..
코드스테이츠 Section3 회고 섹션 3는 다른 섹션에 비해 빨랐다. 그리고 어려웠다. 데일리코딩으로 마주한 멘붕은 과제로 이어져.. 더보기 🔥 목표 👨🏻부모 목표 2022년이 가기전 개발자로 취업하기 디지털 노마드로 일하기 삶의 지향점이 비슷한 회사(스타트업)에서 일하기 👶🏻자식 목표 8월 팀프로젝트 전까지 리액트 강의 끝내기 sec3 때 시작한 mini hackathon 와이어프레임에 맞춰 1차 완성하기 둥둥 떠다니는 퍼즐 조각(지난 학습 내용들..) 맞추기 & 잃어버린 조각 찾아오기 더보기 🌲 Keep 미니 해커톤 개인 프로젝트로 작은 기획과 처음부터 짜내려가야하는 코드를 마주하며 내 ‘실력’을 객관화할수 있어 슬펐고… 그래도 객관화로 내가 ‘모르는 부분’에 대해 알수 있어 그부분을 시간이 나는대로 파고 드는중.. 일정이 끝나고 ..
Code States SEB FE 1_day 1. 메타인지 부트캠프 들어가기 전 필요한 마인드!? '고정형 마인드셋 vs 성장형 마인드셋' 성장형 마인드셋이란? • 재능과 능력은 노력을 통해 성장 가능하지! • 결과보다 성장과정에 집중! • 도전을 성장 기회로 보고 못해도 고! • 실패하면 뭐 어때? 실패는 실패가 아냐 • 누구든 날 비판하라! 듣고 바뀔 준비가 되어있다! (고정형 마인드셋은 성장형 마인드셋의 반대임!) 성장형 마인드셋을 갖기위해 나에게 필요한 것은 뭔가? 무거운 엉덩이, 타인의 피드백을 순수히 받아들이는 마음, 변화에 대한 수용과 도전,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마음 feat. 캐롤 드렉 교수(TED 강연) 링크 공유는 안되지만 찾아서 꼭 보길 권장! 기억에 남는 말은 "Not yet!!!" 시험의 결과 통보를 '낙제'로 받은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