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프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로저 모듈 패턴에 대해 이전에는 스코프와 클로저에 대해 알아 봤다. 복기해보자면, 스코프는 변수의 접근 범위를 말하고, 스코프 체인은 스코프 내부에서 스코프 체인을 따라 가장 바깥쪽 외부까지 접근하는걸 말한다. 클로저는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인데, 내부 함수는 외부 함수에 선언된 변수에 접근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do-youit.tistory.com/23 클로저 모듈 패턴이란? 클로저를 이용해 내부 함수를 단 하나만 리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객체에 담아 여러개의 내부 함수를 리턴하도록 만든다. const makeCounter = () => { let value = 0; return { increase: () => { value = value + 1 }, decrease: () =>.. 스코프와 클로저 면접에서 종종 질문 당한다는?! 스코프와 클로저 대해 알아보자 스코프와 클로저는 서로 밀접히 연관된 개념인듯 하다. 한번 살펴보자. 스코프? 변수 접근 규칙에 따른 유효 범위 변수에는 접근할 수 있는 접근 범위가 존재한다. 중괄호({ }) 안쪽에 변수가 선언 되었는가? 바깥쪽에 선언 되었는가?에 따라 스코프의 범위가 정해진다. 기본적으로 안쪽에서 선언된 스코프는 바깥쪽 스코프에 접근할 수 없다.(inside -> outside X) 스코프는 밖에서 안으로 접근이 가능하다.(outside -> inside O) 스코프는 중첩이 가능하다. 가장 바깥쪽 스코프를 전역 스코프(Global scope)라고 한다. 전역 스코프를 제외한 모든 안쪽 스코프는 지역 스코프(local scope)라고 한다. 전역 스코프에..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