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 썸네일형 리스트형 CORS 설정하기 앞서 본 것처럼 CORS는 서로 origin(출처)가 다르지만 리소스에 접근하고자 할 때 설정해주는 보안 설정?메커니즘?이다. CORS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때 HTTP 메소드를 사용하여 헤더에CORS설정을 해줄 수 있다. CORS 설정에는 3가지가 있다. 1. 프리플라이트 요청(Preflight Request) : 실제 요청을 보내기 전, OPTIONS 메서드로 사전 요청을 보내 해당 출처 리소스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요청을 보낸 출처가 접근 권한이 없다면 CORS ERR) 2. 단순 요청(Simple Request) :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프리플라이트 요청을 생략하고 요청 보냄. 1) GET, HEAD, POST 요청중 하나여야 한다. .. 알고 있지만 모르고 있었던 HTTP(feat. https)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된 URI의 맨 앞을 보면 HTTP 혹은 HTTPS로 시작됨을 알 수 있다. 내가 사용하는 브라우저에 가장 오~래 친숙하게 보던, 하지만 이게 뭔데! 하던 HTTP에 대해서 알아보자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에 필요한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음.. 말그대로 웹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소통하기 위한 일종의 규약?으로 볼수 있다) 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클라이언트가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요청을 보내면, 서버도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응답한다. (*HTTPS는 HTTP Secure로, HTTP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 이전 1 다음